EcoVadis 7가지 관리 지표

EcoVadis 7가지 관리 지표 – 점수 35%를 결정하는 ‘결과’? 완벽 해부

도입

EcoVadis 7가지 관리 지표!

많은 기업이 EcoVadis(에코바디스) 평가를 준비하며 환경, 노동/인권, 윤리, 지속가능한 조달이라는 4가지 테마에 집중합니다. 하지만 정작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점수가 매겨지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좋은 점수를 놓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EcoVadis는 단순히 기업의 주장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7가지 관리 지표’를 통해 지속가능성 경영 시스템의 성숙도를 측정합니다. 이 채점 기준을 이해하는 것이 바로 고득점의 열쇠입니다. 본 글에서는 EcoVadis 평가의 핵심인 7가지 관리 지표를 완벽하게 분석하여, 귀사의 노력이 제대로 된 점수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돕겠습니다.

EcoVadis 7가지 관리 지표

본문: 점수의 비밀, 3가지 관리 계층과 7가지 지표

EcoVadis는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리 시스템을 크게 3가지 관리 계층(Management Layers)으로 나누어 평가하며, 각 계층에 다른 가중치를 부여합니다. 이는 정책 수립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이행과 측정 가능한 결과로 이어지는지를 종합적으로 보겠다는 의미입니다.

  • 정책 (Policies) – 가중치 25%
  • 실행 (Actions) – 가중치 40%
  • 결과 (Results) – 가중치 35%

그리고 이 3가지 관리 계층을 평가하기 위해 총 7개의 세부 관리 지표(Management Indicators)가 사용됩니다.

1. 정책(Policies) 계층: 우리의 약속과 방향성

① 정책 (POLI – Policies):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공식적인 정책, 절차, 목표 등을 평가합니다. 단순한 선언문을 넘어,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지지 (ENDO – Endorsements): UNGC(유엔글로벌콤팩트)와 같은 외부의 공신력 있는 지속가능성 이니셔티브에 대한 기업의 공식적인 지지 및 참여 여부를 평가합니다.

2. 실행(Actions) 계층: 약속을 지키는 구체적인 행동

③ 조치 (MESU – Measures): 정책을 이행하기 위해 실제로 수행하는 구체적인 조치와 활동들을 평가합니다. 직원 교육, 리스크 평가, 내부 감사, 고충처리절차 운영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가중치가 가장 높은 만큼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④ 인증 (CERT – Certifications): ISO 14001(환경), ISO 45001(안전보건) 등 제3자 기관으로부터 받은 유효한 인증 및 라벨을 평가합니다. 객관적인 증거로 점수 획득에 유리합니다.
⑤ 적용 범위 (COVE – Coverage / Deployment of Actions): 실행된 조치들이 일부 부서나 사업장에만 국한되지 않고, 기업 운영 전반에 걸쳐 얼마나 광범위하게 적용되는지를 평가합니다.

3. 결과(Results) 계층: 행동으로 만들어 낸 실질적 성과

⑥ 보고 (REPO – Reporting): 지속가능성 활동의 성과를 측정하는 핵심성과지표(KPI)를 설정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으로 보고하는 수준을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온실가스 배출량 X% 감축’, ‘재해율 X% 감소’와 같은 구체적인 수치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⑦ 360° 워치 결과 (360 – 360° Watch Findings): 기업이 제출한 자료 외에, NGO, 언론, 노동조합 등 외부 이해관계자를 통해 알려진 기업의 지속가능성 관련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이슈(사건, 수상 등)를 평가에 반영합니다.

7가지 관리 지표 요약 테이블

관리 계층 (가중치)관리 지표 (약어)주요 평가 내용증빙 자료 예시
정책 (25%)정책 (POLI)지속가능성 정책, 목표, 절차서환경 방침, 인권 경영 선언문, 윤리 강령
지지 (ENDO)외부 이니셔티브 참여 및 지지UNGC 가입 확인서, RBA 서명
실행 (40%)조치 (MESU)정책 이행을 위한 구체적 활동직원 교육 기록, 위험성 평가 보고서
인증 (CERT)유효한 제3자 인증 보유ISO 14001, ISO 45001 인증서
적용 범위 (COVE)조치의 전사적 확산 수준전 사업장 대상 교육 계획 및 결과
결과 (35%)보고 (REPO)핵심성과지표(KPI) 측정 및 보고지속가능성 보고서, 온실가스 배출량 데이터
360° 워치 (360)외부 이해관계자로부터의 평판수상 기록, 긍정적 언론 보도

자주 묻는 질문 (FAQ)

1. ‘실행(Actions)’ 가중치가 40%로 가장 높은데, 여기에만 집중하면 되나요?

아닙니다. ‘실행’이 높은 가중치를 갖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정책(Policies)’이라는 명확한 기반 없이는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렵습니다. 마찬가지로, 아무리 많은 활동을 해도 ‘결과(Results)’를 통해 성과를 입증하지 못하면 점수가 오르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세 계층의 균형 잡힌 준비가 고득점의 핵심입니다.

2. ‘조치(MESU)’와 ‘적용 범위(COVE)’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쉽게 말해 ‘조치(MESU)’는 ‘무엇을 했는가?'(What)를 평가하고, ‘적용 범위(COVE)’는 ‘얼마나 넓게 했는가?'(How widely)를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안전 교육을 실시했다’는 것은 MESU에 해당하고, ‘그 교육을 본사뿐만 아니라 모든 해외 공장 직원에게도 실시했다’는 것은 COVE에 해당합니다.

3. KPI 보고(REPO)는 꼭 필요한가요? 데이터가 없으면 어떻게 하죠?

네, 매우 중요합니다. ‘결과’ 계층의 핵심으로, KPI 보고가 없으면 35% 가중치 영역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어렵습니다. 만약 데이터가 없다면, 지금부터라도 온실가스 배출량, 용수 사용량, 폐기물 발생량, 산업 재해율 등 핵심적인 지표를 선정하여 데이터 수집 체계를 만드는 것이 평가 준비의 첫걸음입니다.

4. 외부 이니셔티브 지지(ENDO)나 인증(CERT)이 없으면 불이익이 큰가요?

필수 조건은 아니지만, 점수를 상대적으로 쉽게 얻을 수 있는 ‘가점’ 항목으로 볼 수 있습니다. EcoVadis 분석가 입장에서, 제3자가 검증한 인증서나 국제 표준에 대한 지지는 기업의 주장을 객관적으로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5. 360° 워치(360)는 저희가 관리할 수 없는 부분 아닌가요?

직접적인 통제는 어렵지만, 간접적인 관리는 가능합니다. 평소에 법규를 준수하고, 지역사회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긍정적인 활동을 적극적으로 외부에 알리는(예: 보도자료, 수상) 활동이 긍정적인 360° 결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심각한 부정적 이슈가 발생하면 다른 영역에서 아무리 잘해도 점수가 크게 깎이거나 메달 자격이 박탈될 수 있습니다.

맺음말

EcoVadis 평가는 단순히 멋진 정책 보고서를 제출하는 대회가 아닙니다. 명확한 ‘정책’을 세우고, 이를 전사적으로 ‘실행’하며, 그로 인해 나타난 긍정적인 ‘결과’를 데이터로 증명하는 전 과정을 평가하는 종합 시험입니다. 오늘 분석해 드린 7가지 관리 지표와 3가지 관리 계층의 가중치를 이해하고 평가를 준비하신다면, 막연했던 고득점의 길이 훨씬 명확하게 보일 것입니다. 귀사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노력이 정당한 평가로 이어지길 바랍니다.

EcoVadis 관리 지표에 기반한 체계적인 문서 준비와 전략 수립에 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주저하지 마시고 지금 바로 문의하기를 통해 상담을 받아보세요.